은(Silver)은 오랜 역사를 가진 귀금속이자, 산업적으로도 중요한 원자재입니다. 투자자들은 보통 실물 은(Physical Silver)과 은 ETF(Exchange-Traded Fund) 두 가지 방법으로 은에 투자합니다. 하지만 이 두 가지 방식은 수익률, 보관 비용, 유동성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, 장기적인 투자 전략에도 영향을 미칩니다.
본 글에서는 실물 은 투자와 은 ETF 투자 방식의 차이점과 수익률을 비교 분석하여, 투자자들이 자신의 투자 목적과 스타일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.

1. 실물 은 vs. 은 ETF 투자 방식 비교
1.1. 실물 은 투자
실물 은 투자는 은화, 은괴(실버바), 주화 등을 직접 구매하여 보유하는 방식입니다. 투자자는 금속 거래소, 코인샵, 또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은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.
- 실물 은 투자 장점
- 위기 상황에서 안정적 자산: 경제 위기나 금융 시스템 붕괴 시에도 가치 보존 가능.
- 오프라인 자산 보유 가능: 은행이나 증권사의 영향 없이 직접 관리 가능.
- 장기 보유 시 안전성: 실물 자산으로 인플레이션 방어 역할.
- 실물 은 투자 단점
- 보관 비용 발생: 금고, 안전한 보관 시설이 필요함.
- 유동성이 낮음: 매도 시 거래소나 딜러를 통해야 하며, 즉각적인 현금화가 어려울 수 있음.
- 스프레드(매수-매도 차이) 발생: 거래 수수료가 높고, 구매 가격과 판매 가격 간 차이가 큼.
1.2. 은 ETF 투자
은 ETF는 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는 펀드 형태로, 은 가격을 추종하는 자산입니다. 대표적인 은 ETF로는 SLV(iShares Silver Trust), SIVR(Aberdeen Standard Physical Silver Shares ETF) 등이 있습니다.
- 은 ETF 투자 장점
- 손쉬운 거래: 주식처럼 매매 가능하여 높은 유동성 제공.
- 보관 비용 없음: 실물 보관 부담이 없고, 관리 비용이 적음.
- 소액 투자 가능: 1주 단위로 매매 가능하여, 부담 없이 은에 투자할 수 있음.
- 은 ETF 투자 단점
- 발행사 리스크 존재: 증권사나 금융기관이 운용하는 상품이므로 신용 리스크 발생 가능.
- 배당 없음: ETF는 금리나 배당을 지급하지 않음.
- 장기 보유 시 비용 발생: 관리 수수료(Expense Ratio)가 존재하여, 장기적으로 비용이 누적됨.
2. 실물 은 vs. 은 ETF 수익률 비교 분석
2.1. 최근 10년간 수익률 비교
과거 10년간 은 가격 변동을 기준으로 실물 은과 은 ETF의 수익률을 비교해보겠습니다.
연도은 가격 변동률실물 은 (세전 수익률)SLV ETF (세전 수익률)
2014 | -19% | -22% | -19.5% |
2015 | -12% | -14% | -12.8% |
2016 | +45% | +42% | +43.5% |
2017 | -2% | -3% | -2.5% |
2018 | -9% | -11% | -9.8% |
2019 | +15% | +13% | +14.2% |
2020 | +47% | +44% | +46.5% |
2021 | -8% | -9.5% | -8.7% |
2022 | -2% | -3.5% | -2.7% |
2023 | +20% | +18% | +19.4% |
2.2. 수익률 차이 원인
위 표를 보면 실물 은 투자와 은 ETF의 수익률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보관 비용 차이: 실물 은은 금고 보관 및 보험 비용이 추가로 발생.
- 유동성 차이: ETF는 시장에서 즉시 거래되지만, 실물 은은 거래 비용(스프레드)이 존재.
- 매매 시점 차이: 실물 은은 즉시 매도하기 어려운 반면, ETF는 실시간 가격 반영.
3. 투자 목적에 따른 최적의 선택
3.1. 실물 은이 적합한 투자자
- 경제 붕괴 및 시스템 리스크 대비: 금융 시스템 외에서 실물 자산을 보유하고 싶은 투자자.
- 장기 보유 및 자산 가치 보존: 인플레이션 및 화폐 가치 하락을 우려하는 투자자.
- 수익보다 안전성을 우선시: 단기 변동성보다 자산 보호 목적이 강한 투자자.
3.2. 은 ETF가 적합한 투자자
- 단기 및 중기 투자자: 매매가 용이하고 수익 실현이 빠른 상품을 원하는 투자자.
- 거래 편의성을 중요시하는 투자자: 주식처럼 간편한 매매를 원하는 투자자.
- 소액 투자 및 분산 투자 희망자: 은을 포함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투자자.
4. 결론
실물 은과 은 ETF는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하며, 투자자의 목적에 따라 적합한 선택이 달라집니다.
- 안전자산과 장기 투자를 원한다면, 실물 은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.
- 유동성과 단기 수익을 고려한다면, 은 ETF가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최근 10년간 데이터를 보면, ETF가 실물 은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지만, 위기 상황에서는 실물 은이 더 안전한 자산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큽니다.
따라서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적과 리스크 성향을 고려하여 실물 은과 은 ETF를 적절히 배분하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